IMF

 



1997년 IMF 외환위기

 


1987년 민주화체제 이후 그동안 축적된 경제력의 바탕 위에서 자유와 풍요를 만끽하던 국민들은
별안간 들이닥친 환란을 맞이하여 혼란을 맞고 있었다. 직접적인 원인은 환율관리 실패였지만,
정부당국의 경제 실패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이 감수해야 될 처지가 된 것이다.
재벌들에게도 예외가 아니였다. 대마불사라는 말이 무색하게 재벌도 뻥뻥 나가떨어지는 판이였으니까.

 

 

대우자동차, 대우 쌍용 차종을 모두 구입 가능하다는 현수막이 눈에 띤다.
쌍용자동차의 부채 처리



IMF 체제 편입 1주일도 채 되지 않던 1997년 12월 8일, 대우그룹이 쌍용자동차 인수를 발표했다.
대우로서는 쌍용차가 자랑하는 SUV 라인과 플래그쉽 세단 체어맨을 흡수하여
생산 라인업을 갖추었으며 쌍용차를 담보로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사실 쌍용그룹도 쌍용양회, 쌍용제지, 쌍용정유 등은 건실했으나 자동차의 부실로 인해서 그룹 전체가 무너진 케이스다.

 

 

쌍용의 SUV 무쏘에 대우 엠블럼과 그릴이 들어가 있다.
대우 엠블럼과 로고가 들어간 체어맨
대우 엠블럼이 들어간 체어맨




대우그룹 김우중 회장
대우그룹 김우중 회장
재계 인사들과 나란히 서 있는 김우중 회장



물론 김우중은 여러모로 대단한 인물이다.
어찌되었건 샐러리맨의 신화를 쓴 사람이고 트리코트 원단과 와이셔츠 수출로
그룹 축성의 종잣돈을 마련한 그에게는 "트리코트 킴"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워커홀릭 기질이 다분하여 항상 본인이 앞장서서 그룹을 진두지휘하였으며
식사를 연료의 개념으로 간주하여 가장 빨리 나오는 음식을 시키고
마파람에 게눈 감추듯이 먹어치워 사장들은 반도 못 먹고 자리에서 일어나야 했다는 것.
유창한 영어실력과 대인친화력, 처세술 등을 장기로 그룹을 일구었던 것으로
그러니까 상사맨으로서는 대단히 유능한 인물임에 틀림이 없다.

 

 



그러나 아무리 잠재력이 뛰어난 인물이라도 중요한 시험대(위기)를 통과하고 극복해야
비로소 세간의 인정을 받는 법인데, 일단 벌크업에는 성공해서 LG와 삼성까지 추월하고
재계 서열 2위의 재벌이 되었지만 세계경영이라는 슬로건에 비해서 내실이 약한 편이였다.
그 당시 재벌들이 닥공 기질이 충만했다지만 그 중에서도 대우는 특히 유별났다. 

 

 



대우그룹의 역사는 말하자면 인수합병의 역사였다.
부실기업들을 헐값에 사들여서 키우는 것이 김우중의 스타일이였고
그런만큼 독단적이고 공격적인 경영방식으로 유명한 사람이였다.
그런데 IMF 외환위기가 닥치니 그간의 경영방식, 말하자면
차입을 통한 확장경영이 치명적인 타격을 받게 된 것이다.

 

 

IMF의 고금리 정책



왜냐하면 IMF가 고금리 정책이라는 극약처방을 때려버렸기 때문이다.
시중금리가 30%까지 치솟아올라 은행에서 돈을 빌린 기업의 부담이 급증하게 된 것.
실제로 고금리 정책으로 인해서 3000개의 국내 기업들이 도산하게 되는데,
대우도 얻어터지게 되었으나 이 와중에도 대마불사를 외치며 정면돌파를 강행했다.

 

 

대우, 쌍용자동차 인수



특히 위기를 기회로 삼는다는 발상으로 쌍용자동차 인수를 질러버린 것이 치명적이였다.
쌍용자동차를 인수하며 경차부터 대형차까지 모든 차종을 아우르는 종합자동차회사가 되었지만
쌍용차 인수와 함께 떠안은 부채와 적자폭은 대우자동차의 자금소진을 가속화시키는 결과로 돌아왔다.
쌍용자동차 인수라는 무리수만 던지지 않았더라도 그룹 해체까지는 가지 않았을지 모른다.

 

 

포춘지에 등장한 김우중



그러니까 김우중은 상사맨으로서는 초일류였지만 기업경영에는 착오가 있었다.
물론 대외적인 악조건이 대우의 몰락의 큰 원인이였다는 점을 부정할 수 없지만
김우중이라는 인물의 기질이나 성향을 놓고 보더라도 김우중은 타고난 상사맨이지
제조업과 어울리는 사람이 아니였다. 본인도 자신의 가장 큰 실수는 야심이 너무 컸다는 것
특히 자동차 부문에서 과욕을 부린 것이 화근이였다고 술회한 바 있다.

또 경제관료들과도 사사건건 대립했는데 김우중은 경제관료들을 책상물림이라고 무시하고

관료들은 김우중을 향해 사기꾼, 장사치라고 평가절하하고는 했었다.

 

 



김우중은 대우를 일본의 미쓰비시상사, 미쓰이물산같은 종합상사로 육성하는 것이 오히려 더 나았을 것이다.
아마 종합상사에 올인했더라면 김우중의 캐릭터와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면서

거대종합상사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미쓰비시상사, 미쓰이물산, 스미토모상사의 매출액은

일본 GDP의 10%에 달하며 미쓰비시상사는 연 매출이 20조 엔이다.

실제로 대우의 제품 중에는 초일류가 없었다.

범용 기술로도 후진국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을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어떤 기술이든 살 수 있고, 어떤 제품이든 팔 수 있다’는 마인드는 김우중의 장점이자 동시에 한계였다.

이런 건 상사맨에게 어울리는 마인드이지 기업인에게 어울리는 마인드는 아니다. 

 

 

김우중과 이건희



이후 김우중은 삼성그룹과 빅딜을 추진했다. 대우전자를 삼성그룹에 넘기고 삼성자동차를 받는 것.
그러나 기업 부채를 처리하는 문제나 SM5 생산문제와 부산의 하청업체 문제 등으로 갈등을 빚다가
결국에는 무산되었는데 대우에 내부고발자가 있어서 대우전자의 부채가 너무 많다고 삼성에 고발했다고 한다.

삼성그룹은 삼성생명의 자금동원력에 힘입어 삼성자동차를 처내는 선상에서
위기를 극복하였으며 이후 명실공히 한국을 대표하는 재벌로 정상의 자리에 서게 된다.

 

 


 

어떻게든 1998년을 버틴 대우그룹이였지만, 삼성자동차와 대우전자의 빅딜이 무산되자 자금난이 본격화되었다.
기아자동차 인수전에서의 패배와 GM과의 합작을 통한 자금 마련, 삼성자동차와 대우전자 빅딜 등
김우중이 마련한 계획이 모두 어그러졌으며

정부는 결국 대우그룹을 워크아웃 명단에 포함시켜 금융기관 채무를 동결시킨다.

워크아웃 발표 1년 4개월 뒤인 2000년 11월 8일,

대우그룹은 돌아오는 어음을 끝내 감당하지 못하고 최종부도처리되었다.

세계경영을 외치며 몽골의 기마부대처럼 세계자동차업계를 놀라게 했던 대우그룹이 사망선고를 받은 것이였다.

 

 

국가부도의 날



"국가부도의 날"이라는 영화에서도 다른 재벌들이 도산하는 와중에도
대우가 위험하다는 말을 듣고 나랏일하시는 분들이 큰 충격을 받는다.
당시 대한민국 4대 그룹이던 대우가 무너진다는 것은 국가경제의 마지노선이
무너졌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국민들이 받았을 충격이야 이루 말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그가 그토록 미련을 버리지 못하던 대우자동차는 쉐보레 브랜드로 변경되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차라리 실기하지 않고 일찌감치 대우자동차를 GM에 매각하고 대우전자도 삼성그룹에 매각하는 등의
구조조정에 돌입하여 실탄을 충분히 확보한 후 김우중에게 어울리는 종합상사, 부동산, 금융 위주로
사업을 하는 그룹으로 재편했더라면 대우그룹은 전자나 자동차없이도 4대 그룹으로 유지될 수 있었을지 모른다.

그랬더라면 국가경제에도 큰 힘이 되었겠지만 이미 다 지나가버린 일이니 그저 안타까울 따름이다.

+ Recent posts